Board라는 이름의 클래스를 만들고 @Entity 어노테이션을 붙인다.
클래스 구조를 보니 dto, vo 같은 역할을 하는 녀석인 것 같은데 테이블 구조와 유사하게(length까지 맞춤) 구성한다.
도메인(여기서는 설계 잘 된 db테이블)에 가까운 객체라고 하는데, 도메인 모델로 설계할 때 모델의 순수성을 유지하면서 로직들을 짜는 게 중요한데 dto만으로는 데이터 처리가 어려운 경우가 생겨서 도메인에 가까운 쪽으로 단계를 하나 더 둔다는 개념 같음. 검색하니까 도메인 주도 설계까지 나오던데 아직 공부가 더필요한 부분이라 관련 링크만 남기고 넘어감
도메인 주도 설계(Domain Driven Development) 이해
* 도메인 주도 설계(Domain Driven Development) 도입 배경 Before 기존의 개발 - 데이터에 종속적인 애플리케이션 - 모델링과 개발과의 불일치 발생 After 도메인 주도 설계 - 이런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한
ppiyo5.tistory.com
지금 롬복 builder 에러 나는데 원인 좀 더 찾아봐야할 듯
//@AllArgsConstructor 어노테이션 추가하니까 해결됨
[Lombok] @Builder 사용 시 @NoArgsConstructor 관련 에러 해결
Spring Boot로 개발 시 Lombok의 @Builder를 사용할 때 자주 마주치는 에러가 있다. 바로.. 아래와 같은 에러 ! 에러 Error:(7, 1) java: constructor MyName in class kr.leocat.test.MyName cannot be applied t..
yuja-kong.tistory.com
해결하고 스프링 부트 실행하고 글 작성하니 아무 것도 없던 스키마에 board 테이블과 작성한 데이터가 생겼다.
'스프링'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plication.yml(postgresql)설정 저장 (0) | 2021.01.27 |
---|---|
스프링 부트 따라하기 -5 (파일 업로드 다운로드 기능) (0) | 2020.11.28 |
스프링 부트 따라하기-3(페이지 생성) (0) | 2020.11.24 |
스프링 부트 따라하기-2 (디비연결 및 세팅) (0) | 2020.11.19 |
스프링 부트 따라하기-1 (프로젝트 생성) (0) | 2020.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