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공부

Scouter 간단 적용 경험

jw90 2021. 3. 22. 21:34

github.com/scouter-project/scouter

 

scouter-project/scouter

Scouter is an open source APM (Application Performance Management) tool. - scouter-project/scouter

github.com

github.com/scouter-project/scouter/blob/master/README_kr.md

 

아래는 한글 설명서

 

다니는 회사가 솔루션 회사라고는 하는데 운영을 위한 제대로된 자동화 툴이나 절차가 없다. 단위테스트도 팀별로는 안하고 하는 사람만 하는 판이고, 서버 설치 후 로그나 모니터링도 없어서 도입하려고 모니터링 툴을 찾아봐서 나온 게 SCOUTER.

 납품하는 서버 성능이 좋지는 않아서 실제 적용을 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여기서는 일단 개발 PC에 적용한 경험을 서술.

 

오픈소스 모니터링 툴은 찾아보니까 여러개가 있었는데 Scouter가 한글 설명서가 있고, 설명 보니까 설치와 실행이 간편해서 가볍게 적용하기 좋을 거 같아서 선택했다. 

 

설치와 실행 방법은 잘 설명할 자신도 없고 구글링 설명이 잘되어있으니 생략

 

이미지는 Scouter 퀵스타트 예제에서 가져왔다. 문제가 되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삭제하겠습니다.

 

request url 등 로그
상세내역 볼 수 있다.

위 이미지 처럼 scatter 형태로 요청 시간과 응답시간을 볼 수 있다. 오류가 발생하면 빨간색 점으로, 비동기면 회색이라고 한다.(비동기는 아직 못봄)

 

 툴을 적용하면 생각나는 이점은 회사에서 고객사나 개발 서버 페이지에서 에러가 발생한 경우, 해당 페이지로 들어가서  오류메세지를 확인하던지 서버 로그를 putty 등으로 접속해서 확인하는 수밖에 없었다. 그런데 저런식으로 로그가 남고 차트로 한눈에 확인 할 수 있으면어디서 어떤 문제가 발생해서 안되는지 좀 더 명확하게 파악 할 수 있겠다.